카테고리 없음

이직·퇴사 후 두 회사 근로소득 공제 선택, 이직·퇴사자 필독!

insightcatch 2025. 5. 10.

 

.

종합소득세 근로소득 공제, 두 회사 중 어디를 선택해야 할까? (이직·퇴사자 필독)

 

안녕하세요! 오늘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 돌아오면서, 이직이나 퇴사 후 두 군데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근로소득 공제 선택에 대해 쉽게 설명할게요.

 

 

왜 이런 선택을 해야 할까요?

작년 동안 두 회사에서 일했던 저처럼,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홈택스의 모두채움 서비스를 이용하면, 근로소득 공제 선택 단계에서 "두 회사 중 한 곳만 선택하세요"라는 메시지를 보게 될 거예요.

 

이런 안내는 왜 있을까요?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.


근로소득 공제(기본공제, 인적공제 등)는 매년 한 번만 적용되기 때문이에요. 만약 두 회사의 공제를 동시에 받으면, 중복 공제가 되어 세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 그래서 홈택스에서 자동적으로 한 곳만 선택할 수 있게 시스템이 제한되어 있는 거죠.

 

 

어떤 회사를 선택해야 할까요?

이 단계에서는 두 회사 중 한 곳만 선택해야 합니다. 그렇다면 어떤 회사를 고르는 것이 좋을까요?

보통은 근로소득이 더 높은 회사(즉, 급여가 더 많은 곳)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 공제는 소득이 높은 곳에 적용될수록 세금 절감 효과가 크기 때문이에요.

 

 

 

그러면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홈택스에서 근로소득 공제 선택할 때, 근로소득이 더 높은 회사로 결정하세요. 두 회사에서 받은 급여가 모두 합산되어 신고되므로, 공제는 한 번만 적용돼도 전체 소득에 포함됩니다. 이후 보험료나 의료비와 같은 1년간의 공제 내역은 신고서의 각 항목에 직접 입력하면 모두 반영됩니다.

 

 

 

신고하는 방법은? (간단한 절차)

  1. 홈택스 로그인종합소득세 신고모두채움 신고 선택
  2. 소득 불러오기에서 두 회사 모두 체크
  3. 근로소득 공제는 한 곳만 선택 (급여가 더 큰 회사 추천)
  4. 부업(배달 등) 소득도 함께 입력
  5. 각종 공제 항목(보험료, 의료비 등)은 1년 치로 직접 입력
  6. 신고서 제출 후 예상 세액 확인

 

💡 한 줄 요약

여러 곳에서 근로소득이 발생했다면, 공제를 한 곳(급여가 큰 회사)만 선택하세요! 나머지 소득과 공제 내역은 모두 합쳐서 신고하면 됩니다.

 

여러 회사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면 꼭 참고하면서 절세하세요!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:)

 

 

연관글

연말정산 끝난 뒤 종합소득세 추가 납부! 필요한 이유와 신고 방법 한눈에!

 

프리랜서 헬스장 근무, 3.3% 세금 안 떼고 월급 받았다면?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